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growingmanlee👦🏻65

근섬유(근육)의 작동 원리와 성장 방법 안녕하세요😃저번 포스팅에서는 근육의 분류부터 시작해 설명들로 주를 다뤘다면 오늘은 조금 더 작은 단위로 들어 가 볼까 합니다.더 나아가 작은 단위 즉, 근섬유를 알아보고 우리가 운동을 했을 때 어떻게 성장이 이루어 지는지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별 근육을 최소 단위까지 들어가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개별근육—근섬유—근원섬유—근원세사여기서 근섬유는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골격근을 이루는 핵심 단위입니다. 근섬유는 일반적인 조직 세포와는 많이 다르지만 같은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에너지 대사, 회복, 수축, 이완까지 할 수 있는 독립적인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근섬유는 아래의 사진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근섬유막이라는 원형질막이 근섬유를 두르고 있으며 안쪽을 뜯어보면 액틴과 미오신이 합.. 2024. 10. 11.
근육의 간단한 분류와 설명 (골격근, 내장근, 심근, 대근육, 소근육) 안녕하세요.요즘은 예상치 못한 역병이 발생하여 개인의 위생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이 높아진 때입니다.포털 사이트 순위 상단에 위치한 키워드들만 둘러봐도 건강, 헬스, 닭가슴살, 근육, 등등 건강에 관련한 단어들이 눈에 많이 들어오죠.20대 후반에 접어든 저의 주변에도 건강과 운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친구들이 상당히 많아 가끔은 물어보곤 합니다.‘너는 무엇때문에 운동을 하려고 해?’.그럼 돌아오는 대답은 다양합니다. ‘다이어트때문에, 멋있는 근육을 가지고 싶어서, 건강해지고 싶어서 또는 주변에서 다들 하니까.’ 등등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지만 그것들을 관통하는 공통적인 목적은 바로 ‘근육’입니다. 오늘은 바로 이 근육의 기본적인 분류와 구조에 대해 알아보는 글을 써보려 합니다.우리의 몸을 구성하는 근.. 2024. 10. 10.
(저중량 고반복? 고중량 저반복?)-지근, 속근 편 안녕하세요😃여러분들은 지근과 속근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운동에서 끝나지 않고 근육에 대한 이론적인 면도 관심을 가지는 분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내용이죠.오늘은 바로 이 지근과 속근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먼저 근섬유에는 크게 지근섬유와 속근섬유로 볼 수 있습니다. 근섬유 자체는 개수와 특성이 결정되어 태어나기 때문에 어떠한 근육에 특정한 근섬유만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닙니다.각 근육 특성에 따라 지근과 속근 섬유들이 적절하게 엉켜 있죠.아래의 표로 간략히 각각의 특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표에서 보시다시피 지근과 속근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을 연료로 쓰느냐'와 '수축 속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근을 적색근이라 부르고 속근을 백색근이라 부르는 이유도 표에 나와있는 미오글로빈의 차이 때문입니다. 미오.. 2024. 10. 6.
전통 일식에 사용 되는 찜기, '무시깡' 🍱🥢 "일식의 섬세함을 담은 찜기, 무시깡의 매력"일식 요리에서 찜은 매우 중요한 조리법 중 하나입니다. 그 중심에는 '무시깡(蒸籠)'이라는 전통 찜기가 있죠. 무시깡은 단순한 도구 그 이상으로, 일본 요리 문화의 오랜 역사를 담고 있는 특별한 조리 기구입니다. 오늘은 무시깡의 어원부터 사용법, 관리법까지 깊이 알아보고, 그 매력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무시깡의 어원과 역사: 오랜 전통을 간직한 찜기‘무시깡’이라는 단어는 일본어로 증기를 뜻하는 "무시(蒸し)"와 바구니를 의미하는 "깡(籠)"이 결합된 표현입니다. 즉, 찜을 위한 바구니라는 뜻이죠. 이 도구는 일본 요리에서 찜 요리를 할 때 주로 사용되며, 그 역사는 에도 시대(1603-1868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부터 무시깡은 가정에서도, 고급 .. 2024. 10. 5.
지속 가능한 다이어트: 저탄고지의 진실과 현실 💪🏻 안녕하세요.요즘 들어 더욱 발전된 매체들 덕분에 여러가지 다이어트 프로그램과 식단을 접할 수 있습니다.그 중 가장 뜨거웠던, 혹은 뜨거운 다이어트 방법인 저탄고지 다이어트에 대해 알아 볼까 합니다.  키토 다이어트, 케톤 다이어트, 황제 다이어트 등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우는 이 다이어트의 주된 방식은 간단합니다. 지방이 인체의 주 에너지원이 되어 지방을 빠르게 녹여버린다는 것인데, 우리 몸은 포도당이라는 에너지원으로 살아 갑니다.이 포도당은 탄수화물 식품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포도당은 수분과 함께 글리코겐이란 형태로 몸에 에너지를 저장 할 수 있어서 밥을 조금 못 먹더라도 저장된 글리코겐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해 낼 수 있습니다. 근데 영양소 중에 탄수화물의 포도당 말고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2024. 10. 4.
작은 여우들의 반란: 불가능을 현실로 바꾼 레스터 시티의 기적 🦊 "작은 여우들의 반란: 불가능을 현실로 바꾼 레스터 시티의 기적"아, 2015-16 시즌! 그저 그런 EPL의 평범한 한 해가 아니었죠. 세상이 바뀌고, 예상치 못한 기적이 일어난 해였습니다. 레스터 시티—누가 그들의 우승을 예상했을까요? 그들은 말 그대로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었고, 거대한 축구 세계에 작은 여우들이 얼마나 빠르고 날카로운지 보여주었습니다.레스터 시티: 작은 마을의 큰 꿈1884년, 영국의 한 작은 마을에서 "레스터 파세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작은 축구 클럽이 있었습니다. 이 작은 여우들은 오랫동안 EPL의 거대한 포식자들 사이에서 조용히 싸워왔죠. 그들의 역사는 패배의 역사였고, 때로는 절망이 깊었습니다. 그러나 희망은 언제나 있었고, 그들은 결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시간은 지나고.. 2024. 10. 3.
반응형